비용상담
안녕하세요. 대한의사협회·네이버 지식iN 상담의사 박상훈 입니다.
1. 비중격 융비술을 할 때에 무조건 비중격 양쪽으로 덧대서 올려야 하는지(spreader graft 식으로)
. 비중격이 충분하면 양쪽으로 대는 경우가 많으나 충분치 않거나 좀 너무 두꺼운 경우엔 일측성으로
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양쪽이나 한쪽이나 무조건 어느방식이 좋은 건 아닙니다.
2. 비중격 융비술 및 재건 시에 비중격 두께를 자연스런 코와 같이 유지하고 하는 것은 불가능한지
(예로 비중격 위에 늑연골이던 비중격이던 cartilage를 비중격 위에 그대로 올려 놓는 식)
겹치는 부분이 있어야 연장이 되므로 중간 연결부위는 어느정도 두꺼워집니다. 비정상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그정도의 두꺼워짐이 숨쉬기를 불편하게 하거나 하지는 않으므로 굳이 두께를 유지하려하지는 않습니다.
3. 비중격 과다 제거로 콧대 중간 꺼짐 증상 시, 위로 융비술을 하지 않고 제거 된 부분을 채워넣는 식의 재건이 가능한지
비중격을 과다하게 제거하여 콧대 중간이 꺼진 경우에는 무너진 지지대를 재건해 주어야 합니다
상식적으로 가장 쉽고 매끄러운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건 실리콘입니다.
물론 반복적인 염증이 있었거나 실리콘에 거부감이 있으시면
자가조직(주로 늑연골)으로 연결성을 개선시킬 수도 있습니다.
함몰의 정도와 범위에 따라 결정해도 좋겠습니다.
4. 마지막으로 제가 매부리 코인데 비중격 만곡증 재발 방지를 위해 매부리는
그대로 두고 외비교정을 했으나, 매부리 hump 부분이 가운데에서 오른쪽으로 가고
코뼈가 안으로 들어가서 안경 쓰기가 힘듭니다(자주 흘러내리고 눈가에 흘러내리지 말라고
눌러 쓰면 눈꺼풀에 닿아서 알이 더러워 지고) 이 경우 재절골 외에 원래 위치로 코뼈를 복구시킬 수 있는지
5. 재절골만 가능할 시에는 다시 펴서 원래 위치에 코뼈를 위치하는게 가능한지
(4-5 공통) 일반적으로 안경을 위해서 코수술을 하진 않습니다. 코에 닿는 부분을
조절해서 쓰시는 게 좋습니다. 모양이 너무 눌려보이거나 비대칭이 심할때,
숨쉬는 정도가 제약이 있을 때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재절골로 코뼈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만 직접 봐야 정확히 알겠습니다.